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2025년 11월 클라우드 플레어 장애로 챗GPT·아마존·X 등

    전 세계 주요 서비스가 먹통이 된 사건을 정리했습니다.

     

    실제 피해, 사용자 대응법, 기업 대응 전략까지 정확하게 안내합니다.

     

    클라우드 플레어 접속장애|원인·피해·대응 총정리
    클라우드 플레어 접속장애|원인·피해·대응 총정리

     

    이번 장애로 발생된 피해

     

     

    사용자·기업·개발자 모두에게 매우 실질적인 영향을 준 사고였습니다.


    (1) 일반 사용자 피해

     

    • 로그인 불가
    • 챗GPT·쇼핑몰 결제 불가
    • 이미지/콘텐츠 로딩 실패
    • 앱 실행 지연 또는 강제 오류
    • 인증 요청 무한 반복

     

    특히 challenges.cloudflare.com 차단 해제 요구 화면이 반복 노출되며
    서비스 이용 자체가 사실상 차단됨.


    (2) 온라인 쇼핑몰·기업 서비스 장애

     

    클라우드 플레어 기반 서비스가 많은 탓에 아래 문제가 발생:

     

    • 웹사이트 전체 접속 불가
    • 결제 API·로그인 API 실패
    • 관리자 페이지 접근 차단
    • 주문·예약 시스템 오류
    • 고객 문의 폭주 → CS 마비
    • 업무 프로세스 중단

    전 세계적으로 실제 매출 손실이 보고됨(특히 이커머스·사스(SaaS) 기업).


    (3) 서버는 정상인데 ‘접속만 안 되는’ 역설적 상황

     

    CDN이 중간에서 막히면서
    서버 자체는 정상인데
    사용자는 접근 자체가 불가능해지는 현상이 발생.

    기업 측에서도 원인을 즉시 파악하기 어려운 고질적 문제.


    (4) 잘못된 보안 인증 → 사용자 이탈 증가

     

    보안 인증이 비정상적으로 강화되며
    정상 사용자가 ‘봇(bot)’로 오인되어 차단되는 사례가 다수 발생.

    서비스 신뢰도 하락 → 이탈률 증가로 이어짐.


    (5) 해외 장애 → 국내 서비스까지 연쇄 타격

     

    CDN 구조 특성상
    미국 장애가 한국 서비스까지 즉시 영향을 줌.

    한국 웹사이트들도

    • 이미지 로딩
    • 외부 스크립트
    • 로그인 API
      부분에서 오류 발생.

    사용자 대응법

     

     

    장애 발생 시 일반 사용자가 가장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 ① 브라우저 캐시·쿠키 삭제 후 즉시 재접속 금지

     

    바로 재접속하면 장애 상태의 캐시가 다시 저장되어 문제가 더 심해짐.
    10~20분 뒤 재접속이 가장 안정적.


    ✔ ② LTE/5G ↔ 와이파이 전환

     

    경로가 달라지면 일부 정상 노드로 우회되는 경우 존재.


    ✔ ③ VPN 절대 사용 금지

     

    장애 시 VPN은

    • 인증 오류
    • 무한 챌린지
    • 국가 간 경로 우회 실패
      문제를 악화시킴.

    ✔ ④ 상태 페이지 확인

     

    • Cloudflare Status
    • OpenAI Status
    • Amazon AWS Status
    • DownDetector

    → 내 기기 문제인지, 글로벌 장애인지 즉시 판단 가능.


    ✔ ⑤ 결제·개인정보 수정·중요 작업 중단

     

    장애 중 저장·전송이 정상적으로 기록되지 않을 가능성 ↑
    → 데이터 오류 및 중복 결제 위험 있음.


    기업·개발자 대응 전략 

     

     

    기업 입장에서 실제로 필요한 대응을 정확하게 정리한 내용입니다.


    ✔ ① 상태 페이지 실시간 모니터링

     

    장애 발생 시 내부 서버 점검보다 우선 확인해야 함.


    ✔ ② 장애 공지 즉시 발행

     

    혼란 방지를 위해

    • 장애 사실
    • 원인
    • 예상 복구 시간
    • 이용자 안내
      를 빠르게 게시.

    ✔ ③ API 호출 실패 대비 보호 로직 구축

     

    • 중복 결제 방지
    • 주문 오류 방지
    • 인증 실패 시 안전 처리
      등 필수.

    ✔ ④ CDN 이중 구성(가능한 기업)

     

    클라우드 플레어 + CloudFront 같이 다중 CDN 구조 검토.


    ✔ ⑤ 장애 복구 후 로그 검증

     

    • 결제/주문 누락
    • 회원가입 실패 로그
    • 배치 작업 정상 여부
      를 반드시 확인해야 함.

    어떤 서비스들이 ‘먹통’이 되었나?

     

    클라우드 플레어는 전 세계 수십만 개 웹사이트·앱이 의존하는 글로벌 CDN·보안 인프라 기업입니다.
    이번 장애는 단순한 지역적 문제가 아니라, 이 인프라를 사용하는 주요 플랫폼 전체에 연쇄적으로 영향을 준 사건이었습니다.

     

    장애는 한국·미국·유럽 등 거의 전 지역에서 동시에 감지됐으며,
    아래와 같은 글로벌 서비스들이 실제로 접속 불가 또는 속도 지연 현상을 겪었습니다.


    🔹 1) 글로벌 주요 서비스(확인된 장애 발생)

     

    ① 챗GPT (OpenAI)

     

    • 로그인 불가
    • 요청 처리 실패
    • 챗GPT 웹·앱 접속 자체가 차단
    • challenge.cloudflare.com 인증 화면 반복 노출

     

    ② 아마존(Amazon) 및 AWS 기반 서비스

     

    • 아마존닷컴 접속 지연·오류
    • AWS 기반 웹서비스 다수에서 API 호출 실패
    • 일부 결제·로그인 모듈 다운

     

    ③ X (트위터)

     

    • 타임라인 로딩 불가
    • 트윗·DM 전송 지연
    • 전 세계적으로 수천 건의 장애 신고 발생

     

    ④ 스포티파이(Spotify)

     

    • 음악 재생 오류
    • 로그인 실패
    • 콘텐츠 로딩 속도 급감

     

    ⑤ 리그 오브 레전드 (LoL)

     

    • 로그인 서버 접속 불가
    • 게임 클라이언트 업데이트 중단
    • 일부 지역에서 매칭 서비스 오류

     

    ⑥ 퍼플렉시티(Plexity)

     

    • AI 검색 결과 출력 불가
    • 페이지 로딩 중 멈춤

     

    ⑦ 스냅챗(Snapchat)

     

    • 메시지 전송 실패
    • 앱 접속 지연

    🔹 2) 한국 내 서비스도 간헐적 영향

     

    클라우드 플레어를 사용하는 국내 플랫폼들도 서비스 일부 기능에서 문제가 확인되었습니다.

     

    • 쇼핑몰 이미지 CDN 로딩 실패
    • 로그인·인증 시도 시 오류 페이지 노출
    • 외부 스크립트 호출 지연
    • 관리자 페이지 접근 차단

     

    특히 challenge.cloudflare.com 인증 요청이 반복되는 문제가 국내 사용자에게도 큰 불편을 초래했습니다.


    🔹 3) DownDetector 기준 실제 신고량 폭증

     

    장애 직후 DownDetector에는:

    • X 접속 문제: 5,600건 이상
    • 아마존 오류: 수천 건
    • 스포티파이·챗GPT 오류 신고 다수

     

    이처럼 “대규모 장애” 패턴을 그대로 보이며 글로벌적 영향이 즉시 드러났습니다.


    🔹 핵심 요약

     

    ✔ 이번 접속장애는 단일 서비스 문제가 아니라
    클라우드 플레어 기반 서비스 전체가 흔들린 광범위한 장애

    ✔ 챗GPT·아마존·X 등 주요 플랫폼까지 영향

    ✔ 한국 사용자도
    ➡ 이미지 로딩 실패 / 로그인 오류 / 인증 문제 등을 겪음


    원인은 무엇이었나?

     

    클라우드 플레어는 이번 장애가

    “내부 시스템 오류 + 비정상적 트래픽 급증”

    때문이라고 밝혔습니다.

     

    ※ 트래픽 이상 증가 원인은 아직 공식적으로 규명되지 않음.

     

    그 결과,

    • 일부 인증 시스템 오작동
    • CDN 노드 응답 지연
    • 보안 필터링 비정상 작동
      이 일어나, 정상적인 서비스도 사용자 입장에서 접속이 불가능한 상태가 됐습니다.

     

    핵심요약

     

    2025년 11월 18일 오후 8시 50분(한국시간),
    클라우드 플레어가 공식적으로 내부 시스템 장애 발생을 발표했습니다.

     

    • 웹페이지 로딩 불가
    • 인증(challenge.cloudflare.com) 무한 반복
    • API 호출 오류
    • 특정 지역/시간대에서 간헐적 접속
    • 속도 저하·보안 인증 지연

     

    약 20~40분 간격으로 오류가 반복되었고,
    일부 서비스는 몇 시간 동안 정상화되지 않았습니다.


     

    클라우드 플레어 장애는 단순 오류가 아니라 전 세계 인터넷 인프라 전체가 흔들릴 수 있는 심각한 사고입니다.


    지금 정리해드린 대응 방법을 기억해두면, 앞으로 비슷한 장애가 발생해도 훨씬 빠르게 대처하실 수 있습니다.
    새로운 장애 정보가 확인되면 즉시 업데이트해드리겠습니다.

     

     

     

     

     

     

     

     

     

     

     

     

    클라우드 플레어 접속장애|원인·피해·대응 총정리클라우드 플레어 접속장애|원인·피해·대응 총정리클라우드 플레어 접속장애|원인·피해·대응 총정리
    클라우드 플레어 접속장애|원인·피해·대응 총정리
    클라우드 플레어 접속장애|원인·피해·대응 총정리클라우드 플레어 접속장애|원인·피해·대응 총정리클라우드 플레어 접속장애|원인·피해·대응 총정리
    클라우드 플레어 접속장애|원인·피해·대응 총정리
    클라우드 플레어 접속장애|원인·피해·대응 총정리클라우드 플레어 접속장애|원인·피해·대응 총정리클라우드 플레어 접속장애|원인·피해·대응 총정리
    클라우드 플레어 접속장애|원인·피해·대응 총정리
    클라우드 플레어 접속장애|원인·피해·대응 총정리클라우드 플레어 접속장애|원인·피해·대응 총정리클라우드 플레어 접속장애|원인·피해·대응 총정리
    클라우드 플레어 접속장애|원인·피해·대응 총정리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