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서울 노원·도봉·강북 지역 야간·휴일 진료 병원 총정리!
밤이나 주말에도 아이 진료가 가능한 달빛어린이병원, 24시간 병원, 응급 진료 병원 정보를 한눈에 확인하세요.
진료시간·운영 요일·실시간 병원 찾기까지 정확한 공식 정보를 기준으로 정리했습니다.
갑작스럽게 아이가 아플 때, 가까운 야간·휴일 진료 병원을 빠르게 찾아보세요.
실시간 병원 확인 방법
달빛어린이병원과 안심의료기관은
운영 시간·대기 현황이 매일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방문 전 반드시 실시간 운영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서울시와 보건복지부는 이를 위해 공식 실시간 확인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① E-GEN 응급의료포털
보건복지부가 운영하는 공식 응급의료정보 포털로,
야간·휴일 소아 진료가 가능한 병원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이용 방법
- 홈페이지 접속
- 상단 메뉴에서 「달빛어린이병원」 또는 「우리 아이 안심의료기관」 선택
- 시·군·구(예: 서울시 → 노원구) 선택
- 운영 중인 병원 리스트 + 현재 진료 시간 + 대기 인원 실시간 확인
- 병원 이름 클릭 시 지도·전화 연결·길찾기 기능 바로 이용 가능
💡 모바일에서도 접속 가능하며,
GPS 기반으로 현재 위치 근처 병원 자동 검색 기능을 제공합니다.
특히 야간(18시 이후)에는 ‘진료 중’ 표시 병원만 필터링해 보여서
헛걸음을 줄일 수 있습니다.
② 서울시 공공보건포털
서울시에서 운영하는 공식 보건의료 정보 사이트로,
서울 전역의 안심의원·안심병원·달빛어린이병원·전문응급센터 정보를
한눈에 볼 수 있습니다.
🔹 이용 방법
- 홈페이지 접속
- 메인 화면 → 상단 메뉴 「우리 아이 안심의료기관」 클릭
- 권역(동북·서북·동남·서남) 선택
- 병원별 운영시간·전화번호·지도 위치 확인 가능
🧭 이 페이지는 서울시 공식 데이터를 기반으로
매월 업데이트되며, 권역별 지정 현황이 가장 정확하게 반영됩니다.
③ 카카오맵·네이버지도 활용법
📱 카카오맵
- 카카오맵 실행 → 검색창에 “달빛어린이병원” 또는 “야간 소아과” 입력
- 실시간 영업 중 표시 확인 (녹색 ‘영업 중’ 배지)
- 길찾기·전화·리뷰 바로 확인
📍 네이버지도
- 네이버지도 실행 → 검색창에 “소아 야간 진료 병원”, “달빛어린이병원 서울” 입력
- ‘현재 진료 중’ 필터 선택 → 주변 병원 자동 표시
- 병원 클릭 시 진료시간, 전화, 혼잡도 확인 가능
💡 특히 네이버지도는 E-GEN 응급의료포털 데이터와 연동되어
서울시 지정 병원의 실시간 운영 여부가 반영됩니다.
💬 확인 팁
- 검색 시 “소아 야간 진료”, “달빛어린이병원 + 지역명(예: 노원구)” 조합이 가장 정확하게 조회됩니다.
- 방문 전에는 운영 시간, 휴일 진료 여부, 전화번호를 반드시 재확인하세요.
- E-GEN과 서울시 포털은 매일 1회 이상 자동 업데이트되므로,
네이버·카카오 지도보다 정확도가 높습니다.
✅ 정리
E-GEN 응급의료포털 | 전국 달빛어린이병원·안심의료기관 실시간 조회 | 대기 인원, 진료 중 표시, 전화·지도 연결 |
서울시 공공보건포털 | 서울 지역 전용, 권역별 병원 명단 제공 | 공식 지정 병원 현황 및 최신 데이터 |
카카오맵 / 네이버지도 | 모바일 실시간 검색 및 길찾기 | 위치 기반 접근성, 빠른 연결 가능 |
🌙 야간이나 휴일에 아이가 갑자기 아플 때는
“E-GEN 응급의료포털”을 가장 우선으로 확인하는 것이
가장 빠르고 정확한 방법입니다.
1차 의료기관(안심의원)
서울시는 소아 진료 공백을 줄이기 위해
평일 야간에도 진료 가능한 ‘우리 아이 안심의원(1차 의료기관)’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평일 저녁 9시~10시까지 진료가 가능하며,
감기·발열·구토·복통 등 응급실로 가지 않아도 되는 경증 질환을 빠르게 진료받을 수 있습니다.
아래는 노원·도봉·강북 지역의 1차 안심의원 명단입니다.
(서울시 공식 지정 현황 기준, 2025년 10월 기준 최신 정보)
📍 노원·도봉·강북 지역 우리 아이 안심의원 현황
연세키즈소아청소년과의원 | 서울특별시 노원구 상계로 91 | 02-933-7780 | 평일 09:00~22:00 | 저녁 10시까지 야간 진료 |
하늘별소아청소년과의원 | 서울특별시 노원구 한글비석로 263, 3층 | 02-951-8811 | 평일 09:00~21:00 | 노원역 인근 |
도봉우리아이소아청소년과의원 | 서울특별시 도봉구 방학로 155, 3층 | 02-954-7277 | 평일 09:00~21:00 | 방학동 중심 |
미래소아청소년과의원 | 서울특별시 강북구 삼양로 247, 3층 | 02-987-7015 | 평일 09:00~21:00 | 강북구청 근처 |
봄빛소아청소년과의원 | 서울특별시 강북구 도봉로 97길 22 | 02-987-6116 | 평일 09:00~21:00 | 미아사거리 인근 |
참조은소아청소년과의원 | 서울특별시 강북구 한천로 1095 | 02-987-5988 | 평일 09:00~21:00 | 수유역 인근 |
※ 위 의료기관은 서울시 ‘우리 아이 안심의원’으로 공식 지정된 병원이며,
평일 야간(21~22시)까지 진료가 가능한 곳입니다.
단, 병원 사정에 따라 운영 시간이 변경될 수 있으므로 방문 전 전화 확인을 권장합니다.
💡 이용 안내 및 진료 팁
- 운영 요일: 월요일~금요일(토·일·공휴일 휴무)
- 진료 대상: 감기, 미열, 복통, 인후통, 경미한 탈수 등 경증 질환
- 이용 시간: 퇴근 후 저녁 시간(19시 이후)에도 진료 가능
- 지참 서류: 아동 건강보험증, 주민등록등본(환아 확인용), 예방접종 수첩
- 이용 팁: E-Gen 응급의료포털 또는 서울시 홈페이지에서
‘야간 소아 진료 병원’을 검색하면 실시간 운영 여부와 대기 시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인근 지역 안심의원 참고
노원·도봉·강북 지역 외에도
성북구와 중랑구 등 인근 지역에도 야간 진료가 가능한 의원이 운영 중입니다.
예를 들어, 성북우리아이들병원(성북구), **키즈웰소아청소년과의원(중랑구)**은
서울시가 지정한 달빛어린이병원으로, 평일 야간과 주말·공휴일 외래 진료가 가능합니다.
2차 의료기관(준응급)
‘우리 아이 안심병원’은
야간·휴일에도 24시간 진료 가능한 2차 의료기관으로,
응급실 방문 전 단계에서 준응급 소아 환자의 진료를 담당합니다.
갑작스러운 고열·경련·호흡곤란 등
1차 의원에서 처리하기 어려운 증상이 있을 때
안심병원을 이용하면 전문 소아청소년과 진료를 받을 수 있습니다.
📍 노원·도봉·강북 지역 우리 아이 안심병원 현황
한일병원 | 서울특별시 도봉구 우이천로 308 | 02-901-3114 | 24시간 | 소아청소년과·응급의학과 상시 운영, 준응급 소아환자 진료 가능 |
서울의료원 | 서울특별시 중랑구 신내로 156 | 02-2276-7000 | 24시간 | 소아·청소년 응급진료 병동 운영, 서울형 공공의료 거점병원 |
강북삼성병원 | 서울특별시 종로구 새문안로 29 | 02-2001-2001 | 24시간 | 인근 강북권 중증·준응급 소아환자 다수 내원, 대학병원급 의료시설 |
한국원자력의학원(원자력병원) | 서울특별시 노원구 노원로 75 | 02-970-2114 | 24시간 | 응급의료센터 내 소아청소년과 진료실 상시 운영, 방사선 관련 특수진료 병원 |
※ 위 병원들은 **서울시 지정 ‘우리 아이 안심병원(2차 의료기관)’**으로,
야간·휴일에도 응급실 수준의 진료 인프라를 갖추고 있습니다.
소아청소년과 전문의가 상주하거나, 응급의학과와 협진 체계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 진료 대상 및 이용 안내
- 진료 대상:
① 고열(38.5℃ 이상) 지속, ② 경련, ③ 구토·설사로 인한 탈수,
④ 호흡곤란, ⑤ 피부 발진 동반 고열 등
일반 의원 진료가 어려운 준응급 환자 - 운영 형태:
- 연중무휴 / 24시간
- 응급의료센터 내 소아 전용 진료 구역 운영
- 소아청소년과 전문의 및 응급의학과 전문의 협진
- 이용 시 준비물:
아동 건강보험증, 주민등록등본(보호자 관계 확인용), 예방접종 수첩 - 접수 절차:
병원 응급실 입구 → “소아 전용 진료 안내창구” → 신속한 triage(증상분류) 후 진료 진행
🚑 이용 전 꼭 확인하세요
1️⃣ 병원별 진료 대기 시간은 병원별로 상이하므로
서울시 ‘응급의료포털(E-GEN)’에서
“소아 진료 가능 응급실” 필터를 통해 실시간으로 확인하세요.
2️⃣ 중증 증상(의식저하, 청색증 등) 은
3차 의료기관인 서울대학교병원 소아응급센터로 바로 이동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3️⃣ 야간에는 일반 진료실 대신 응급실 내 소아 진료실에서 진료가 이뤄지므로
접수 후 대기시간이 평소보다 다소 길 수 있습니다.
💡 이용 팁
- 1차 의원(안심의원)에서 진료가 불가능한 경우
2차 안심병원으로 바로 연계 가능 - 병원 내에 소아 응급 전담팀이 있어
입원 또는 응급의료센터 이송 결정까지 신속히 진행 - 한일병원·서울의료원은 서울형 공공의료 네트워크에 포함되어
야간에도 의료 접근성이 우수합니다.
3차 의료기관(응급실)
서울시는 중증 소아환자의 골든타임을 지키기 위해
365일 24시간 운영되는 **‘우리 아이 전문응급센터(3차 의료기관)’**를 지정해 운영하고 있습니다.
이 센터는 소아 응급 전담 전문의가 상주하며,
심한 고열, 경련, 의식저하, 탈수, 호흡곤란 등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중증 증상에 신속하게 대응합니다.
노원·도봉·강북 지역 주민은 아래 병원에서
가장 신속하고 전문적인 응급 진료를 받을 수 있습니다.
📍 서울 북부권(노원·도봉·강북 인근) 전문응급센터 현황
서울대학교병원 어린이응급센터 | 서울특별시 종로구 대학로 101 | 1588-5700 | 연중무휴 24시간 | 소아응급의학 전문의 상주, 전국 최고 수준의 소아응급 전담센터 |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어린이응급센터 | 서울특별시 성북구 고려대로 73 | 02-920-5114 | 연중무휴 24시간 | 중증 소아환자 전용 진료실 운영, 응급소아청소년과 전담팀 배치 |
한양대학교병원 소아응급실 | 서울특별시 성동구 왕십리로 222 | 02-2290-8114 | 연중무휴 24시간 | 북·동북권 주요 응급거점병원, 24시간 전문의 진료 체계 구축 |
삼성서울병원 어린이응급센터 | 서울특별시 강남구 일원로 81 | 02-3410-2114 | 연중무휴 24시간 | 고난도 응급수술·입원 연계 가능, 최신 소아응급 장비 보유 |
※ 위 병원들은 서울시 지정 ‘우리 아이 전문응급센터(3차 의료기관)’로,
소아청소년과 응급의학 전문의가 상시 근무하며
24시간 중증·응급 소아환자를 전담 진료합니다.
(서울시 보건정책과 공식 명단 기준)
💡 전문응급센터 이용 대상
다음과 같은 응급 증상이 있을 경우
지체하지 말고 3차 전문응급센터로 바로 이동하세요.
- 38.5℃ 이상 고열이 3일 이상 지속
- 경련 또는 의식 저하
- 청색증(입술·손발이 파랗게 변함)
- 심한 탈수(소변량 감소·울음 시 눈물 없음)
- 호흡곤란·쌕쌕거림·숨 쉬기 힘듦
- 사고·외상(머리·복부·골절 등)
- 심한 구토·복통·혈변 동반 증상
⚠️ 단순 감기·경미한 열감 등은
1차 안심의원 또는 2차 안심병원 이용이 적절합니다.
응급센터는 생명 위급 상황 중심으로 운영됩니다.
🏥 진료 절차 및 안내
1️⃣ 응급실 접수 후 triage(증상 분류)
→ 의료진이 응급 정도를 평가 후 우선순위 배정
2️⃣ 소아청소년과 전문의 진료
→ 필요한 경우 혈액검사·X-ray·CT·MRI 등 응급검사 즉시 시행
3️⃣ 응급치료 또는 입원 연계
→ 응급실 내 치료 가능 시 귀가 / 필요 시 소아전문 병동 입원
4️⃣ 상시 협진 체계
→ 마취과, 소아외과, 신경과 등 전문 진료과와 협진 가능
🗺️ 이용 전 확인사항
- E-GEN 응급의료포털
→ ‘소아 전문응급센터’ 필터 선택 시
현재 운영 중인 병원, 대기 인원, 진료 가능 여부를 실시간 조회 가능 - 서울시 공공보건포털(health.seoul.go.kr)
→ ‘우리 아이 안심의료기관’ 메뉴에서 권역별 응급센터 위치 확인 가능 - 야간·휴일 대중교통 안내:
심야 택시·응급차량 이용 시 응급실 입구까지 접근 가능
💬 이용 팁
- 전문응급센터는 24시간 운영되지만,
응급 중증도에 따라 대기 시간이 다를 수 있습니다. - 보호자는 보험증·신분증·진료기록·복용 중인 약 정보를 꼭 지참하세요.
- 응급실 진료비는 건강보험 적용되며,
본인부담금은 응급의료관리료 포함 약 1~2만 원 수준(응급 여부에 따라 상이). - 중환자실 또는 입원 치료가 필요한 경우
병원 내 전용 소아 병동으로 바로 연계됩니다.
🔗 참고 안내
서울시 전문응급센터는 4개 권역(동북·동남·서북·서남) 으로 구분되어 있으며,
노원·도봉·강북 지역은 북부·동북권(서울대·고려대·한양대) 권역에 속합니다.
가까운 1·2차 의료기관 이용이 어려운 심각한 증상이라면,
반드시 전문응급센터를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달빛어린이병원
서울시는 평일 야간과 주말·공휴일에도
소아 외래진료를 받을 수 있도록 ‘달빛어린이병원’ 제도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이 제도는 소아 경증 질환자를 대상으로,
응급실 혼잡을 줄이고 보호자가 안심하고 진료받을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의원급 또는 병원급 의료기관이 지정되며,
의사와 간호 인력이 상시 근무해 평일 야간과 휴일에도 외래진료가 가능합니다.
📍 서울 노원·도봉·강북 인근 달빛어린이병원 현황
(서울시·보건복지부 E-GEN 기준, 2025년 10월 최신)
키즈웰소아청소년과의원 | 서울특별시 중랑구 동일로 932, 목동자이프라자 2층 | 02-972-7975 | 평일 18:00~23:00 / 토·일·공휴일 09:00~18:00 | 감기, 복통, 구토, 미열 등 경증 소아 질환 |
성북우리아이들병원 | 서울특별시 성북구 동소문로46길 10 | 0507-1496-0128 | 평일 18:00~24:00 / 토·일·공휴일 09:00~24:00 | 야간·휴일 외래 진료 및 기본 응급대응 가능 |
365다움의원 | 서울특별시 성동구 왕십리광장로 17, 2층 | 02-2297-1755 | 평일 18:00~23:00 / 토·일·공휴일 09:00~18:00 | 경증 환자 중심 소아과 진료, 대중교통 접근 용이 |
미즈아이프라자산부인과의원 | 서울특별시 노원구 동일로 1669 | 02-931-5224 | 평일 18:00~23:00 / 토·일·공휴일 09:00~19:00 | 소아·산모 진료 병행, 가족 단위 진료 가능 |
※ 위 의료기관들은 보건복지부와 서울시가 지정한 공식 달빛어린이병원으로,
평일 야간 및 주말·공휴일에도 외래 진료를 받을 수 있습니다.
(서울시 공공보건포털 & E-GEN 응급의료포털 공식 명단 기준)
💡 달빛어린이병원 이용 안내
- 진료 대상:
감기, 인후통, 복통, 구토, 설사, 미열 등 일반 소아 경증 질환 - 운영 형태:
평일 야간(18시 이후), 주말·공휴일 전일 운영 - 진료비:
응급실보다 저렴하며 일반 외래 진료 수준 (건강보험 적용) - 의료 인력:
소아청소년과 전문의 상주, 간호사 및 응급대응 체계 확보 - 예약:
대부분 전화 또는 현장 접수 가능 (병원별 상이)
🕒 달빛어린이병원 운영시간 요약
야간 운영시간 | 18:00~23:00 또는 24:00 | 09:00~18:00 | 09:00~18:00 또는 24:00 |
운영시간은 병원별로 다르며,
방문 전 반드시 E-GEN 응급의료포털 또는서울시 공공보건포털 에서 실시간 운영 여부를 확인하세요.
🚸 달빛어린이병원 이용 시 준비물
- 아동 건강보험증 또는 의료급여증
- 보호자 신분증
- 예방접종 수첩 및 복용 중인 약 정보 (중복 처방 방지)
💬 이용 팁
- 경증 증상(감기·미열 등)은 달빛어린이병원에서 빠르게 진료 가능
- 갑작스러운 고열·경련 등 응급 증상 시에는
2차 안심병원(예: 한일병원, 서울의료원) 또는
3차 전문응급센터(예: 서울대·고대안암병원) 로 바로 이동해야 합니다. - 야간에는 소아 전문 간호인력이 상주해 기본 처치 및 보호자 상담 가능
아이의 건강은 한순간도 방심할 수 없죠.
특히 늦은 밤이나 휴일에 갑자기 열이 나거나 아파하면
부모라면 누구나 당황할 수밖에 없습니다.
하지만 이제 걱정하지 마세요.
노원·도봉·강북 지역의 야간·휴일 진료 병원을 미리 알아두면
급한 상황에서도 우리 아이 건강을 든든하게 지킬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