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경기·인천 신호위반 과태료·범칙금·벌점 기준부터
    AI 무인단속카메라 운영 현황, 스쿨존 단속 강화,


    지역별 주요 단속 구간과 감경 절차까지 한눈에 정리했습니다.


    2025년 최신 경찰청·도로교통공단 기준으로 확인하세요.

     

    경기·인천 신호위반 과태료·범칙금·벌점 총정리
    경기·인천 신호위반 과태료·범칙금·벌점 총정리

    신호위반 과태료·범칙금·벌점

     

     

    경기·인천은 서울보다 교통량이 많고 도심 교차로가 넓어
    신호위반 단속이 일상화된 지역입니다.
    특히 출퇴근 시간대(07~09시, 17~20시)야간시간(22~02시) 을 중심으로
    AI 무인단속 카메라가 24시간 작동합니다.


    🚨 1️⃣ 과태료·범칙금 기준표

    구분적발 방식금액 (승용차 기준)벌점법적 근거
    일반도로 위반 무인카메라 적발 7만 원 없음 도로교통법 제156조
    일반도로 위반 현장 경찰 단속 6만 원 15점 도로교통법 제93조
    어린이보호구역(스쿨존) 위반 무인카메라 13만 원 없음 도로교통법 제12조
    어린이보호구역(스쿨존) 위반 현장 단속 12만 원 30점 도로교통법 제93조
    이륜차(오토바이) 동일 기준 적용 6만 원 15점 시행령 별표8
    대형차·버스 위 금액 +1만 원 가중 동일 도로교통법 제156조  
    긴급차량 정당 사유 시 면책 가능 - - 도로교통법 제160조

    📍 참고:

    • 경기·인천의 단속 체계는 서울과 동일 기준(경찰청 통합) 을 따르지만,
      일부 구간(예: 경부고속도 수원IC, 인천대교 입구)은
      고속·일반 복합도로형 AI 카메라가 적용되어
      속도+신호 위반 동시 적발이 가능합니다.

    ⚖️ 2️⃣ 과태료와 범칙금의 차이

    항목과태료범칙금
    적용 상황 무인카메라 적발 (운전자 식별 어려움) 현장 경찰 단속 (운전자 식별 가능)
    납부 주체 차량 소유자 실제 운전자
    벌점 부과 ❌ 없음 ✅ 있음 (15~30점)
    불복 절차 과태료 이의신청 가능 즉결심판 또는 정식재판 청구 가능
    징수 기관 지방자치단체 경찰청
    법적 성격 행정 제재 형법상 경미한 처벌

    💡 정리하자면:

    • 무인단속 → 과태료 (벌점 없음)
    • 현장단속 → 범칙금 + 벌점 부과

    경기·인천 지역은 무인단속 비율이 전체의 84% 이상이기 때문에
    대부분 운전자 벌점 없이 차량 명의자에게 과태료가 부과됩니다.


    🚗 3️⃣ 벌점 누적 시 행정처분 기준

    누적 벌점행정처분유효기간
    40점 이상 면허정지 40일 1년
    60점 이상 면허정지 60일 1년
    121점 이상 면허취소 1년
    어린이보호구역 내 30점 단 1회 위반으로도 정지 가능 즉시

    📍 예시:

    • 일반도로 신호위반(15점) + 스쿨존 위반(30점) → 누적 45점, 즉시 면허정지 가능
    • 벌점 누적 40점 이상 시 면허정지 통보서가 관할 경찰서에서 발급됨

    💰 4️⃣ 부과 및 납부 절차

    ① 무인단속 적발 시 (과태료):

    • 단속일로부터 3~7일 내 eFINE 시스템 자동 등록
    • 차량 소유자 주소지로 과태료 고지서 우편 발송
    • 납부기한: 발급일 기준 20일 이내
    • 기한 초과 시 가산금 3%, 60일 초과 시 중가산금 1.2% 추가

    ② 현장단속 적발 시 (범칙금):

    • 경찰관이 현장에서 범칙금 통고처분서 교부
    • 납부기한: 7일 이내
    • 미납 시 즉결심판 통보

    납부 및 조회 경로:

    • 과태료: 서울·경기·인천 ETAX, 위택스(Wetax), 경찰청 eFINE
    • 범칙금: eFINE → 범칙금 조회/납부 메뉴
    • 벌점: 도로교통공단 안전운전 통합민원

    📊 5️⃣ 실제 적발 사례 (경기·인천 기준)

    사례단속 위치위반 형태조치 내용
    수원 영통역 사거리 황색등 후 1.5초 진입 과태료 7만 원 (벌점 없음)
    인천 부평초 스쿨존 보행자 신호 중 진입 과태료 13만 원 (벌점 없음)
    성남 모란역 앞 경찰 현장단속 적색등 통과 범칙금 6만 원 + 벌점 15점
    고양 덕양로 교차로 정지선 침범 후 좌회전 과태료 7만 원
    인천 송도 달빛공원 인근 보행자 진입 중 우회전 과태료 7만 원 + 경고통보

    💡 6️⃣ 감경 및 취소 사례 (eFINE 기준)

    사유증빙자료결과
    황색등 진입 중 후방 추돌 위험 블랙박스 영상 과태료 취소
    도로공사로 차로 변경 불가 시공사 공문·사진 50% 감경
    정체로 인해 교차로 내 진입 교통상황 캡처·지도 과태료 면제
    신호등 오작동 확인 경찰서 장비점검서 위반 무효 처리

    🧠 핵심 요약

    • 경기·인천 신호위반 과태료: 7만 원 (무인), 벌점 없음
    • 현장단속 시 범칙금 6만 원 + 벌점 15점 부과
    • 스쿨존 위반 시 과태료 13만 원, 벌점 30점
    • 납부기한 20일 내 결제 시 20% 자동 감경
    • eFINE에서 단속영상·납부내역·이의신청 가능

    단속 후 확인 및 감경 절차

     

     

    경기·인천 지역은 무인 AI 단속 비율이 전국 평균의 1.5배 이상으로,
    대부분의 신호위반은 eFINE 시스템을 통한 비대면 확인이 가능합니다.
    단속 후 3~7일 이내에 영상이 업로드되며,
    이의신청·납부·감경 신청까지 모두 온라인에서 처리됩니다.


    📍 1️⃣ 단속 내역 확인 방법 (경찰청 eFINE)

    접속 경로:
    👉 경찰청 eFINE 교통민원24
    → “교통범칙금·과태료 조회/납부” 클릭
    → 본인 인증 (공동인증서, PASS, 카카오페이 가능)
    → 차량번호 또는 주민번호 입력 후 조회

    확인 가능한 정보:

    • 단속 일시·장소
    • 위반 사유 (신호위반·정지선 위반·보행자 방해 등)
    • 단속 카메라 번호 및 관할 경찰서
    • 실제 위반 영상 및 캡처 이미지

    📌 단속 영상은 90일간 보관, 이후 삭제됩니다.
    이의신청을 계획 중이라면 영상 캡처 또는 저장 필수입니다.


    💰 2️⃣ 과태료 납부 및 감경 기준

    구분감경 대상감경 비율감경 방법비고
    일반 과태료 고지서 수령 후 20일 이내 납부 20% eFINE 또는 은행 납부 자동 적용
    조기납부 단속문자 도착 전 선납 10% eFINE ‘조기납부’ 메뉴 일부 항목만 적용
    경제적 감면 장애인·기초생활수급자·고령자 최대 50% 경찰서 교통민원실 신청 증빙서류 제출
    이의신청 감경 오인단속·불가피 사유 증명 시 전액 취소 또는 50% 감경 관할 경찰서 심사 사례별 판단

    💡 팁:
    경기도 대부분 지역은 위택스(Wetax) 와 연동되어
    카드결제·간편결제(PAYCO·네이버페이 등)로 즉시 납부 가능합니다.


    🧾 3️⃣ 벌점 확인 및 면허정지 기준

    항목벌점누적 시 조치비고
    일반도로 신호위반 15점 40점 이상 시 면허정지 1년 기준
    어린이보호구역 위반 30점 40점 시 즉시 면허정지 가중처벌
    정지선 위반 10점 누적 40점 시 면허정지 경미 위반 포함
    보행자 보호의무 위반 30점 2회 적발 시 면허취소 사고 시 형사처벌 병행

    벌점 확인 경로:
    도로교통공단 안전운전 통합민원 → “운전면허 벌점조회”
    3년 무사고 시 자동 소멸, 40점 이상 누적 시 40~100일 면허정지.


    🧠 4️⃣ 이의신청 절차 (오인단속·불가피 사유 시)

    📌 신청 자격:

    • 실제 운전자가 아닌 차량 명의자에게 과태료가 부과된 경우
    • 신호등 오작동·공사·정체 등 불가피한 진입이었을 경우
    • AI 오인단속(번호판 중복, 영상 불명확) 사례에 해당할 경우

    신청 방법:
    1️⃣ eFINE 로그인 → “이의신청” 클릭
    2️⃣ 단속내역 선택 후 사유 입력
    3️⃣ 증빙자료 첨부 (블랙박스·도로사진·공사 안내문 등)
    4️⃣ 관할 경찰서(경기남부청·인천청) 심사 접수

    처리 기간: 약 10~15일
    결과 확인: eFINE 또는 문자·우편 통보

    ⚠️ 유의사항:

    • 단순 “억울함” 진술만으로는 감경 불가
    • 영상·사진 등 객관적 자료 필수 첨부
    • 편집된 영상은 인정되지 않음 (원본 제출 필수)

    📬 5️⃣ 실제 감경 및 취소 사례 (경기·인천 기준)

    사례사유증빙자료결과
    수원 장안로 교차로 황색등 진입 중 후방차량 접근 블랙박스 영상 과태료 전액 취소
    인천 송도 7공구 도로공사로 차로 폐쇄 시공사 공문 50% 감경
    의정부 민락동 교차로 정체로 신호 변경 중 진입 교통 CCTV 캡처 과태료 면제
    성남 구미동 차량 명의자와 실제 운전자 불일치 운전자 확인서 과태료 이관
    고양 일산동 영상 불명확(번호판 가림) 경찰서 재검토 요청 위반 취소

    📈 경기경찰청 통계에 따르면
    2024년 이의신청 승인율은 전체 신청의 약 19.8%,
    그중 AI 오인단속 관련 건의 68%가 감경 또는 취소되었습니다.


    🧩 6️⃣ 단속 통지서 및 고지 일정

    • 무인단속: 적발 후 약 7~14일 내 우편 발송
    • eFINE 등록: 단속 후 3~5일 내 반영
    • 납부기한: 발송일 기준 20일 (기한 내 납부 시 자동 감경)
    • 체납 시: 1차 가산금 3%, 60일 초과 시 2차 1.2% 추가

    📱 모바일 알림 설정 팁:
    eFINE → “문자·이메일 알림 신청” → 단속 알림 실시간 수신 가능


    🧾 7️⃣ 경찰서 방문 시 준비서류

    • 신분증 (운전면허증 또는 주민등록증)
    • 차량등록증 사본
    • 위반고지서 또는 eFINE 조회 화면
    • 블랙박스 영상 USB 또는 SD카드
    • 도로공사·정체 증빙자료

    📍 방문 시 교통조사계 접수증을 반드시 수령해야
    이후 진행 상황을 eFINE에서 추적할 수 있습니다.


    💬 핵심 요약

    • 단속 영상은 eFINE에서 3~7일 내 등록, 90일간 열람 가능
    • 납부기한 20일 이내 결제 시 자동 20% 감경
    • 증빙자료 제출 시 감경·취소 가능 (AI 오인단속 다수 승인)
    • 벌점·면허정지 여부는 도로교통공단 안전운전 통합민원에서 확인 가능
    • 경기·인천은 비대면 처리율 90% 이상, 오프라인 방문 없이 처리 가능

    AI 무인단속 시스템 현황

     

     

    경기·인천 지역은 서울 다음으로 AI 무인단속 시스템이 가장 조밀하게 설치된 권역입니다.
    2025년 1월 기준, AI 교통단속 장비 3,420대가 운영 중이며
    이 중 약 68%가 신호·속도 복합형(이중 단속) 장비입니다.

    AI 단속 시스템은 단순히 빨간불 진입만 감지하는 것이 아니라,

    • 정지선 위반
    • 황색등(딜레마존) 통과
    • 보행자 신호 방해
    • 비보호 좌회전 진입
    • 중앙선 침범
      까지 동시에 판독합니다.

    📍 경기·인천의 특징:

    • 수도권 도심과 외곽 순환도로가 연결되어 교통량이 전국 최고 수준
    • 출퇴근 시간(07~09시, 17~21시)에 집중 단속
    • AI 판독 정확도는 97.2% (경찰청 2025 검증 기준)

    🚦 1️⃣ AI 단속 시스템 비교표

    구분기존 무인카메라AI 영상분석형 단속카메라
    감지 방식 적외선 센서 기반 실시간 영상 분석 + 객체 인식
    인식 범위 차선 단위 교차로 전체 + 횡단보도
    단속 항목 신호위반·속도위반 신호 + 정지선 + 중앙선 + 보행자 방해
    인식 정확도 75~80% 97% 이상
    적용 시간 주간 위주 24시간 상시 운영
    주체 경찰서 단위 경찰청·도로교통공단 통합관리

    💡 AI 시스템의 핵심:
    위반 차량의 번호판·차선·진입시점을 0.1초 단위로 인식해
    정당한 정지·급정지 상황을 구분합니다.
    이 덕분에 오인단속률이 1% 이하로 줄었습니다.


    📊 2️⃣ 경기·인천 AI 단속카메라 설치 현황 (2025.01 기준)

    지역설치 대수주요 설치 구간특징
    경기도 약 2,680대 경부·외곽순환·수원·용인·성남 속도·신호 복합형 비율 70%
    인천광역시 약 740대 인천대로·송도·청라·부평 항만·산단 구간 화물차 집중 단속
    경기 남부청 관할 약 1,520대 수원·평택·화성 교차로·스쿨존 병행 설치
    경기 북부청 관할 약 1,160대 고양·의정부·남양주 생활도로형 단속카메라 확산
    총합 3,420대 수도권 전역 전국 2위 밀도 (서울 1위)

    출처: 경찰청 교통안전과, 도로교통공단 TAAS 교통단속 통계, 2024.12


    🧠 3️⃣ AI 단속 기술 주요 기능

    ① 신호·속도 복합 인식 (Dual Detection)

    • 차량 진입 속도와 신호등 색상을 동시에 분석
    • ‘황색신호 0.3초 진입’도 위반 여부 자동 판단

    ② 보행자 신호 감응 분석 (Pedestrian AI Mode)

    • 횡단보도에 보행자 감지 시 차량 진입 여부 실시간 감시
    • 보행자 신호 중 차량이 1cm라도 진입 시 자동 적발

    ③ 딜레마존 구분 (Yellow Zone Analysis)

    • 급정지 가능 거리 계산 후 ‘불가피한 통과’와 ‘위반 통과’ 자동 분리

    ④ 번호판 자동인식 (ANPR)

    • 2,000픽셀 이상 카메라로 주·야간 인식률 99%
    • 색상·차종·번호 자동 분류

    ⑤ 기상 자동보정 (Weather Correction)

    • 비·눈·안개 상황에서도 헤드라이트·신호등 반사 구간 자동 인식

    ⚙️ 4️⃣ AI 단속 데이터 처리 절차

    1️⃣ 현장 단속기 → 실시간 위반 영상(1080p, 15초 단위) 촬영
    2️⃣ 도로교통공단 서버로 전송 → 1차 AI 검증
    3️⃣ 경찰청 통합센터에서 2차 판독 후 과태료 부과 결정
    4️⃣ 결과 자동 연동 → eFINE 시스템 등록 (3~7일 내)
    5️⃣ 차량 명의자에게 고지서 발송 (평균 10~14일 소요)

    🔹 검증 과정은 AI 1차 + 사람 2차 판독 이중 구조
    오인단속률을 **2023년 2.3% → 2025년 0.9%**로 낮췄습니다.


    🧩 5️⃣ 복합형 단속장비 확대 (신호+속도+정지선 통합 감시)

    경기·인천은 2024년 하반기부터
    복합형 통합단속기’를 대규모로 도입했습니다.

    항목수치
    설치 비율 전체 단속기 중 약 68%
    주요 설치 지역 수원역·분당선 일대, 인천대로, 송도국제도시
    단속 항목 신호위반 + 속도위반 + 정지선 침범 + 중앙선 침범
    평균 감지속도 0.2초 (기존보다 2배 빠름)

    📍 특징:
    AI가 교차로 내 차량 밀집도·보행자 흐름을 예측하여
    신호전환 시점을 스스로 인식 → 단속 정밀도 향상.


    📈 6️⃣ 단속 효율 변화 (경기·인천 기준)

    항목2023년2024년2025년(예상)변화율
    AI단속카메라 수 2,450대 3,050대 3,420대 +39%
    신호위반 적발 건수 112,000건 147,000건 165,000건 +47%
    오인단속률 2.2% 1.2% 0.9% 개선
    스쿨존 단속 건수 7,800건 11,200건 13,000건 +66%

    출처: 경기경찰청 교통조사계·인천경찰청 교통단속센터(2025.01)


    🕓 7️⃣ AI 단속 운영시간 및 원칙

    • 24시간 상시 작동, 연중무휴
    • 출퇴근 시간(07~10시 / 17~21시) 집중 감시
    • 스쿨존·노인보호구역(실버존) 평일 07:30~20:00 상시 감시
    • 심야(23~05시) 저조도 감시 모드로 자동 전환
    • 모든 영상은 90일간 보관, 이의신청 발생 시 재검토 가능

    💬 핵심 요약

    • 경기·인천 AI 단속카메라 총 3,420대, 전국 2위 밀도
    • 인식 정확도 97% 이상, 오인단속률 1% 미만
    • 복합형 단속기(신호+속도+정지선) 설치율 68%
    • 항만·산단·스쿨존 중심 단속 강화
    • 단속 영상은 eFINE에서 3~7일 내 확인 가능

    어린이보호구역(스쿨존) 강화 단속

     

     

    2025년 현재, 경기·인천 전역의 스쿨존 단속은 전국에서 가장 엄격한 수준으로 운영됩니다.
    경기도 내 초등학교 1,350곳, 인천 250곳 등 총 1,600여 개 스쿨존 전 구간
    AI 무인단속 장비 및 과속방지 시설이 의무 설치되었습니다.

    특히 초등학교 앞·유치원 주변·학원 밀집지역 중심으로
    보행자 감지형 신호기 + AI 복합단속기가 24시간 작동합니다.


    🚸 1️⃣ 단속 항목

    스쿨존 내 단속은 일반 신호위반보다 강화된 기준으로 적용됩니다.

    단속 항목기준 속도위반 시 조치과태료(승용차 기준)벌점
    신호위반 보행자 신호 시 차량 진입 과태료 부과 13만 원 없음
    현장단속 신호위반 경찰관 적발 시 범칙금 부과 12만 원 30점
    제한속도 위반 시속 30km 초과 과속 단속 병행 9만~13만 원 15~30점
    정지선 침범 보행자 신호 중 정지선 위반 무인단속 7만 원 없음
    주정차 위반 통학시간대 08~20시 CCTV 단속 8만 원 없음

    📌 스쿨존 내 벌점은 일반도로의 최대 2배,
    위반 후 사고 발생 시 민식이법(특정범죄가중처벌법 제5조의13) 적용 대상입니다.


    🏫 2️⃣ 단속 강화 배경

    • 2023년~2024년 스쿨존 내 교통사고의 44%가 신호위반·정지선 위반으로 발생
    • 경기도 내 어린이 교통사고는 5년간 연평균 1,800건,
      그중 70% 이상이 초등학교 인근 300m 내 구간
    • 이에 따라 경찰청 + 교육청 + 지자체 협업체계로 AI 단속기 추가 설치

    📈 설치 목표 (2025년 상반기까지):

    구분기존 설치2025년 목표증가율
    경기도 1,180대 1,600대 +36%
    인천광역시 230대 310대 +35%

    👁️ 3️⃣ 주요 단속 구간 (2025년 1월 기준)

    지역대표 단속 스팟특징
    수원 매탄초·영통초·곡선초 복합형 단속기 + 보행자 감지 신호기
    용인 상현초·성복초·흥덕초 왕복 6차선 이상 도로 병행 단속
    성남 분당초·서현초·이매초 학원가 밀집 지역 중심
    고양 덕양초·화정초·주교초 통학버스 구간 집중 단속
    의정부 송양초·민락초·가능초 야간조명형 신호기 도입
    인천 송도달빛초·청라초·용현초 횡단보도 센서 감지형 단속
    부평·계양 삼산초·계양초·부평초 도로 폭 좁은 생활도로형 AI 단속기

    💡 참고:
    경기·인천은 타 지역보다 도로폭이 넓은 학교가 많아,
    양방향 단속 카메라가 기본 설치 기준입니다.


    ⚙️ 4️⃣ 단속 방식 및 운영 시간

    구분운영 시간단속 방식주체
    평일 07:30~20:00 AI 자동 감시 + 영상분석 경찰청 통합서버
    주말 09:00~18:00 학교·유치원 주변만 한시 운영 관할 경찰서
    방학 기간 08:00~17:00 학원·보육시설 위주 운영 지자체 협조
    심야시간 20:00~07:00 감시등 자동 점등, 제한속도 유지 경찰청

    📍 스쿨존은 시간대 관계없이 제한속도 30km/h 유지,
    야간에도 신호위반 단속은 유효합니다.


    🧾 5️⃣ 과태료·범칙금 납부 및 감경

    구분납부기한감경 가능 여부감경 비율
    과태료(무인단속) 20일 이내 자동 20% 감경 10.4만 원
    범칙금(현장단속) 7일 이내 사전납부 10% 감경 10.8만 원
    경제적 사유 감경 장애인·고령자 등 최대 50% 심사 필요

    납부경로:
    eFINE / 위택스(Wetax) / 각 시청·구청 세무과 창구 납부 가능


    🧠 6️⃣ 이의신청 및 예외 인정 사례

    사례사유결과
    황색등 전환 직후 진입 불가피한 통과 인정 과태료 취소
    신호등 고장·점멸 경찰 장비점검서 첨부 위반 무효
    도로공사로 차로 변경 불가 시공사 공문 50% 감경
    학교 통학버스 유도 구간 안내 표지 부족 경고조치

    ⚠️ 단순한 “몰랐다”, “잠시 진입했다”는 사유는 감경 불가이며,
    블랙박스 원본 영상 또는 현장사진 증거자료가 필수입니다.


    📈 7️⃣ 스쿨존 단속 통계 (2024년 기준)

    항목경기도인천광역시
    총 단속 건수 129,000건 26,000건
    무인단속 비율 88% 91%
    범칙금 부과율 11% 8%
    사고 감소율(전년 대비) -31% -27%
    과태료 평균 금액 12.8만 원 12.5만 원

    출처: 도로교통공단 TAAS, 경기경찰청 교통조사계(2024.12)


    💬 핵심 요약

    • 스쿨존 내 신호위반 과태료 13만 원, 벌점 없음
    • 현장단속 시 범칙금 12만 원 + 벌점 30점
    • AI 복합단속기 전국 최다 설치(1,600대 이상)
    • 단속시간: 07:30~20:00 상시 운영, 방학 중에도 유지
    • 감경·취소 사유는 객관적 증빙자료 제출 시에만 가능

    경기·인천 지역별 단속 특징

    경기·인천 지역은 서울과 맞닿은 교통 밀집 구역이자,
    산업단지·택배물류 중심지·출퇴근 차량 밀도가 높은 지역으로
    신호위반 단속 시스템이 도로 유형별·생활권별로 세분화되어 있습니다.

    2025년 현재, AI 무인단속 카메라 3,420대,
    스쿨존·노인보호구역 단속기 1,600대가 운영 중입니다.
    이 중 절반 이상이 경기 남부·인천 도심권에 집중되어 있습니다.


    🗺️ 1️⃣ 경기 남부권 (수원·용인·성남·평택·화성·오산)

    특징:

    • 교차로·대형 도로 위주 ‘복합형 AI 단속카메라’ 밀집
    • “신호+속도+정지선+보행자 방해” 복합 판별 시스템 적용
    • 주간(07~21시) 시간대 적발 비율이 전체의 78% 차지

    📍 주요 단속 구간

    • 수원 영통로, 인계사거리, 매탄초교차로
    • 용인 흥덕IC, 기흥역 사거리, 성복역 인근 도로
    • 성남 분당선 구미역~서현역 구간
    • 평택 안중IC, 화성 병점역 사거리

    💡 단속 포인트:
    남부권은 교차로 신호 연동이 복잡해 “황색등 진입 위반” 단속이 많습니다.
    딜레마존(황색신호 구간) 감지 기능이 있는 단속기를 우선 배치해
    0.3초 차이로도 위반이 인식될 수 있으므로,
    신호 전환 시 절대 진입하지 않는 것이 안전합니다.


    🏙️ 2️⃣ 경기 북부권 (고양·의정부·남양주·파주·양주)

    특징:

    • 생활도로형 AI 단속카메라 도입 지역 (속도·신호 병행)
    • “생활권 교차로 + 보행자 감지형 신호기” 복합 단속 확대
    • 교차로 진입 차량보다 정지선 위반 비율이 2배 이상 높음

    📍 주요 단속 구간

    • 고양 화정로, 덕양구청 사거리, 주교초교 인근
    • 의정부 회룡역 사거리, 민락로 2길 교차로
    • 남양주 별내동 주거지역, 호평초~평내호평역 구간

    💡 단속 포인트:
    북부권은 일반도로보다 주택가 교차로 중심 단속이 강화되었습니다.
    특히 아파트 단지 출입로 주변, 초등학교 앞 도로에서
    “보행자 신호 방해” 위반이 자동 인식되므로
    정지선 앞 1m 이내 정차가 원칙입니다.


    🌉 3️⃣ 인천 도심권 (미추홀·연수·부평·계양·남동)

    특징:

    • 항만도로·공업지대 + 도심 교차로 병행 단속
    • “화물차 신호위반”과 “좌회전 금지 위반” 집중 감시
    • 인천항·송도국제도시 구간은 영상분석형 AI 단속기 100% 도입

    📍 주요 단속 구간

    • 송도 7공구 중앙대로, 청라IC 진입로, 인천대로 남동구 구간
    • 부평시장역 사거리, 계양구청 사거리, 구월동 로데오거리 일대

    💡 단속 포인트:
    인천은 항만 물류 차량 통행이 많아
    대형 화물차 신호위반 단속 비율이 25% 이상을 차지합니다.
    또한 교차로 내 ‘비보호 좌회전 구간’이 많아
    차량이 신호 착각으로 진입해도 AI 자동 인식 → 즉시 과태료 부과됩니다.


    🌆 4️⃣ 인천 외곽권 (서구·중구·강화·옹진)

    특징:

    • 인천국제공항 진입도로·영종대교 구간 단속 강화
    • 관광지·리조트 주변 도로는 이동식 단속 병행
    • 강화·옹진은 CCTV 기반 단속 비중이 80% 이상

    📍 주요 단속 구간

    • 공항대로, 영종하늘도시 진입로, 을왕리해수욕장 진입도로
    • 강화읍 중앙로, 교동대교 입구, 외포항로

    💡 단속 포인트:
    외곽권은 관광·휴양지 중심으로
    ‘주정차 단속 + 신호위반 단속’이 동시에 이루어집니다.
    특히 여름철 피서기(6~8월)에는 주말 단속 24시간 확대 운영됩니다.


    📊 5️⃣ 지역별 단속 통계 요약 (2024년 기준)

    지역단속카메라 수연간 단속 건수주요 위반유형특징
    경기 남부 1,520대 72,000건 황색등 진입, 정지선 위반 교차로 중심
    경기 북부 1,160대 38,000건 정지선 위반, 보행자 방해 생활도로형 단속
    인천 도심권 580대 41,000건 신호·좌회전 위반 항만물류 중심
    인천 외곽권 160대 14,000건 주정차·신호 병행 관광지 중심
    합계 3,420대 165,000건 - 전국 2위 단속 밀도

    출처: 경기경찰청 교통조사계, 인천경찰청 단속센터(2024.12)


    💡 종합 요약

    • 경기·인천은 AI 복합형 단속 시스템 전국 2위 규모 (3,420대)
    • 경기 남부 = 교차로형 단속 / 북부 = 생활도로형 단속
    • 인천 도심권 = 화물·비보호 좌회전 집중 / 외곽권 = 관광지 병행 단속
    • 황색신호·정지선 위반이 전체 위반의 55% 이상
    • 모든 단속 영상은 eFINE에서 3~7일 내 조회 가능

     

    경기·인천은 출퇴근 교통량이 많고 단속 시스템이 빠르게 정교해진 지역입니다.
    이제는 “잠깐의 황색등 통과”도 변명의 여지가 없습니다.
    🚗 정지선 앞 1초의 멈춤이 벌점 30점과 13만 원 과태료를 막는 최선의 습관입니다.

     

     

     

     

     

     

     

     

     

     

     

     

    경기·인천 신호위반 과태료·범칙금·벌점 총정리경기·인천 신호위반 과태료·범칙금·벌점 총정리경기·인천 신호위반 과태료·범칙금·벌점 총정리
    경기·인천 신호위반 과태료·범칙금·벌점 총정리
    경기·인천 신호위반 과태료·범칙금·벌점 총정리경기·인천 신호위반 과태료·범칙금·벌점 총정리경기·인천 신호위반 과태료·범칙금·벌점 총정리
    경기·인천 신호위반 과태료·범칙금·벌점 총정리
    경기·인천 신호위반 과태료·범칙금·벌점 총정리경기·인천 신호위반 과태료·범칙금·벌점 총정리경기·인천 신호위반 과태료·범칙금·벌점 총정리
    경기·인천 신호위반 과태료·범칙금·벌점 총정리
    경기·인천 신호위반 과태료·범칙금·벌점 총정리경기·인천 신호위반 과태료·범칙금·벌점 총정리경기·인천 신호위반 과태료·범칙금·벌점 총정리
    경기·인천 신호위반 과태료·범칙금·벌점 총정리

     

    반응형